티스토리 뷰
돈이나 재물에 대해 인색한 사람을 칭하는 구두쇠의 철칙 중 하나는 수중에 들어온 재물을 절대 내놓지 않는다는 것이다. 소비가 미덕인 시대, 재테크가 개인의 능력을 가늠하는 잣대가 된 요즘의 정서와는 180도 다른 얘기다. 하지만 인간이 아닌 물질 세계로 적용 범위를 확대하면 얘기는 달라진다.1800년 최초로 전지가 발명된 이래 인류의 등불이 된 전기(電氣)의 경우를 보자. 그동안 전기는 구리로 만든 케이블을 통해 송전됐지만 중간에 손실되는 에너지가 커서 실제 가정이나 산업시설에서 사용하는 양보다 훨씬 많은 양을 내보내야 했다. 하지만 전기를 손실없이 그대로 보낼 수 있다면 에너지 절약은 물론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지 않을까? (출처 : KISTI의 과학향기)
전 세계가 초전도체라는 물질에 깊은 관심을 기울이고, 초전도 관련 연구에 막대한 인력과 비용을 투자하는 이유는 뭘까? 초전도체가 전력은 물론 의료, 수송, 반도체, 컴퓨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꿈의 소재기 때문이다. 1986년 이후에는 값비싼 액체헬륨 대신 코카콜라 가격 정도로 저렴한 액체질소를 냉매로 사용해 초전도체를 개발할 수 있게 되어 응용의 폭이 더욱 커졌다.
자기장을 배척하기 때문에 자석 위로 떠오르는 성질을 이용하면 서울에서 부산까지 1시간대에 주파하는 자기부상열차를 만들 수 있다. 현재 일본에서는 비행기와 비슷한 시속 550km의 속도로 움직이는 초전도 자기부상열차를 시험운전 중이다. 또한 반도체의 집적도를 지금보다 3~4배 높일 수 있으며, 노트북 크기의 슈퍼컴퓨터를 제작할 수 있다.
초전도체는 온도, 자기장의 세기 및 전류밀도 등 세 가지 기본조건이 모두 충족돼야 하는 어려움 때문에 실용화 속도가 느릴 수밖에 없었다. 특히 전기저항 0이 되기 위한 온도가 극히 낮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됐다. 현재의 과학자들은 초전도체가 가지는 문제점을 극복하면서 일상 환경에서 초전도 현상을 적용할 수 있는 물질의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911년 네델란드 카멜링 온네스가 최초로 초전도 현상을 발견한 이후, 초전도체를 이론적으로 규명한 세 명의 과학자에게 2003년 노벨 물리학상이 수여되기까지 거의 한 세기가 지났다. 최근에는 새로운 성질을 가진 초전도 물질의 개발이 급속도로 진행되면서 실용화에 한 걸음 다가선 것은 에너지, 환경, IT 및 BT 분야에 일으킬 새로운 산업혁명을 꿈꾸는 과학계의 열정이 식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과학향기 편집부)
- Total
- Today
- Yesterday
- 설탕
- 상식
- DNA
- 생명과학
- 의료
- 다이어트
- 뇌
- 금연일기
- 통신
- 냄새
- 금연
- 오라클
- 인공지능
- 보건소
- 지진
- 챔픽스 후기
- 유전자
- 금단증상
- 윈도우10
- java
- 단백질
- oracle
- 챔픽스 후기 금연
- 흡연
- 부작용
- 과학
- 100일
- 보건
- 믹스커피
- 챔픽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