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삼국유사의 기이편에 나오는 기록이다. 신라의 제 31대 신문대왕은 아버지 문무대왕을 위해 동해안에 감은사라는 절을 세웠다. 하루는 동해에 작은 산 하나가 떠서 감은사를 향해 떠 내려왔다. 그 산에는 대나무 한 그루가 서 있었는데 낮에는 둘이 되고 밤에는 합하여 하나가 되는 것이 아닌가! 왕이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가 그 산에 들어가니 용이 검은 옥대-임금의 공복(公服)에 두르던 옥으로 장식한 띠-를 받들어 왕에게 바쳤다. 왕이 대나무가 갈라지기도 하고 합해지기도 하는 이유를 물었더니, 용은 이렇게 대답하는 것이었다. “비유해 말씀 드리면 한 손으로 치면 소리가 나지 않고, 두 손으로 치면 소리가 나는 것과 같습니다. 이 대나무란 물건은 합쳐야만 소리가 나게 되므로 성왕께서 소리로써 천하를 다스리게 될 상서로운 징조입니다. 왕께서 이 대나무로 피리를 만들어 불면 천하가 화평해질 것입니다.” (출처 : KISTI의 과학향기)
삼국유사와 삼국사기를 비롯한 우리나라의 옛 기록에는 이밖에도 용에 관한 기록이 자주 등장한다. 문무대왕은 죽어서 나라를 지키는 동해의 용이 되었으며, 처용가로 잘 알려진 처용은 동해 용왕의 일곱 아들 중 하나이다. 수로부인이 용에게 납치되었을 때 백성들은 ‘해가(海歌)’라는 노래를 함께 불러 수로부인을 구해 냈다.
이 같은 용의 출현에 관한 기록들은 신화나 전설처럼 그저 신비스럽게 꾸며진 이야기에 지나지 않는 것일까? 그에 대한 답은 용의 발생설 중 하나인 ‘용권설(龍券說)’에서 유추해 볼 수 있다. 용권이란 바다에서 일어나는 회오리바람을 말한다. 그 모습이 승천하는 용과 같다고 해서 ‘용오름’이라고도 불리는 용권은 적란운에 의해 나타난다. 높이 십여 킬로미터의 거대한 탑처럼 보이는 구름인 적란운 속에서는 잠열(숨은열)에 의해 데워진 공기 때문에 강한 상승 기류가 일어난다. 이 때 적란운의 하층부에는 주변의 습한 공기를 빨아들이며 급격하게 소용돌이치는 용오름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용오름 현상을 신격화하여 용을 상상하게 되었다는 것이 용권설의 요체이다.
천 년 전, 신라 사람들은 동해에서 솟구쳐 오르는 용오름을 호국용으로 다시 태어난 문무대왕이라고 생각했다. 작년 10월 3일, 동해의 울릉도에서 용오름이 관측되었다. 높이 600미터, 지름 30미터에 이르는 거대한 용오름은 신령스런 몸을 뒤틀며 남동쪽으로 200미터를 이동한 뒤 사라졌다. 다사다난했던 2003년이 지나고 새로운 한 해를 맞아, 온갖 세파를 잠재울 만파식적의 은은한 소리가 다시 들리기를 기대해 본다.(정창훈/ 과학칼럼니스트)
- Total
- Today
- Yesterday
- 챔픽스 후기
- 다이어트
- 윈도우10
- 100일
- 챔픽스
- 흡연
- 금연일기
- 인공지능
- 금단증상
- 냄새
- 상식
- 설탕
- 과학
- DNA
- 통신
- 오라클
- 믹스커피
- 부작용
- 단백질
- 챔픽스 후기 금연
- 유전자
- java
- 의료
- 지진
- 보건
- 보건소
- 생명과학
- 뇌
- 금연
- oracl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