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아세톤’으로 대통령이 된 과학자 ? 하임 바이쯔만
여성들이 매니큐어를 지울 때 쓰는 아세톤은 유리 등에 남은 지저분한 스티커 자국 등을 깨끗이 없앨 때에도 유용한, 생활 편의품이다. 하지만 플라스틱에 사용하는 것은 금물인데, 플라스틱을 녹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피아노 건반을 아세톤으로 닦다가는 광택이 없어져서 낭패를 볼 수도 있다.
이처럼 아세톤은 휘발성이 강한 유기용매로써 여러 가지 물질을 녹이는 액체로 사용되는데 사실 아세톤은 이보다 더 무서운(?)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무연화약의 원료인 니트로셀룰로오스를 잘 녹이기 때문에 화약 제조에는 필수적인 물질인 것이다.
1차 세계대전에서 연합군이 승리한 이면에는 영국이 이같은 아세톤을 대량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탄약을 풍부하게 보급할 수 있었던 배경이 있었다.
당시에는 거의 모든 나라들이 화약의 원료로 칠레에서 나던 초석을 사용했으나 독일의 무제한 잠수함 작전으로 인해 영국은 칠레로부터 초석을 들여오지 못하게 됐다. 초석이 없이 화약을 만들기 위해서는 질산 성분을 포함한 유기물을 아세톤으로 녹여야 했으나 당시에는 쿠바에서 나는 사탕수수에서 설탕을 빼고 난 부산물을 발효하여 아세톤을 제조했기 때문에 원료를 얻기 어려웠다. 이때 영국은 녹말로부터 아세톤을 공업적으로 대량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위기로부터 벗어날 수 있었던 것이다.
1910년대 초에 바이쯔만은 인조고무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었다. 그는 설탕을 인조고무의 원료로 변화시킬 수 있는 박테리아를 찾고 있었는데, 이 과정에서 우연히 설탕을 아세톤으로 바꾸어주는 박테리아를 발견하게 됐다. 이 박테리아에는 ‘클로스트리듐 아세토부틸리쿰(Clostridium acetobutylicum)‘이라는 이름이 붙었는데, 나중에는 ‘바이쯔만 유기물(Weizmann organism)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게 된다. 바이쯔만은 그 뒤 연구를 계속해서 녹말을 설탕으로 변화시키고 이것을 다시 위의 박테리아로 처리해서 아세톤을 대량으로 얻는 공정을 개발했다.
바이쯔만 이전에는 밀폐된 용기 속에 나무를 넣고 끓이면서 증발되는 증기를 모아 아세톤을 추출하곤 했다. 당연히 이런 방법으로는 얻을 수 있는 아세톤의 양이 극히 적었고 그나마 나무도 무한정 베어 낼 수 없었지만, 그렇다고 아세톤의 수요가 크게 많지도 않았다. 하지만 1차 대전이 일어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1차 대전의 발발로 영국은 포탄 제조 등에 필요한 화약의 수요가 늘어났지만 공급이 충분하지 못해 애를 태우고 있었는데, 마침 군수물자 담당 장관인 로이즈 조지가 맨체스터 가디언 지의 편집장 C. P. 스콧을 만났다가 바이쯔만이라는 과학자의 존재를 알게 되었다. 이리하여 영국 군부의 고민거리가 극적인 해결의 열쇠를 찾게 된 것이다.
산림 자원이 그리 풍부하지 않은 영국에서 나무를 대량으로 증류시켜 아세톤을 찔끔찔끔 얻어내는 대신, 바이쯔만이 개발한 방법을 이용하니 대량생산이 가능해졌다. 감자나 보리 등 녹말의 원료가 되는 곡물들은 여유가 있었고, 미국에서 수입한 대량의 옥수수도 아세톤의 원료가 되어주었다. 게다가 아세톤을 얻을 수 있는 효율은 훨씬 높았다.
결국 국내외 여러 곳에 아세톤 제조 공장을 건설한 영국은 1차 대전을 승리로 이끌 수 있었고, 나중에 영국 수상이 된 로이드는 당연히 바이쯔만에게 적절한 명예나 보상으로 보답하려 했다. 그러나 열성적인 시오니스트였던 바이쯔만은 팔레스타인 지역에 유태인들의 독립국가를 건설하는 데 지원해 줄 것을 요청했고 바이쯔만의 이런 노력은 1917년의 ‘발포어 선언’을 이끌어내게 됐다. 당시 영국 외무장관 아서 발포어가 유태인 독립국가의 건설을 지지한다고 공식적으로 발표한 것이다.
바이쯔만은 훌륭한 과학자인 동시에 노련한 정치가이기도 했다. 영국은 1917년에 이스라엘 독립국가 건설을 지지하는 ‘발포어 선언’을 했지만, 그보다 앞서서 1915년에 아랍 독립국가 건설을 지원한다는 ‘맥마흔 선언’을 이미 공포한 상태였다. 그러다가 바이쯔만 및 당시 유럽에서 막강한 금권을 쥐고 흔들던 유대계 금융자본인 로스차일드 집안의 영향력 등에 의해 다시 유대계 지지로 돌아선 것이다. 오늘날까지 수많은 인명들의 희생이 계속되고 있는 중동 분쟁은 이렇듯 우유부단했던 당시 영국의 태도에서 비롯된 것인데, 그러한 강대국의 틈바구니에서 바이쯔만은 실험실에만 처박혀 있던 과학자가 아니라 노련한 정치외교가로서의 수완도 발휘했던 것이다. (글 : 박상준 - 과학칼럼니스트) (출처 : KISTI의 과학향기)
- Total
- Today
- Yesterday
- 금연
- 다이어트
- 유전자
- 지진
- 보건
- 의료
- 오라클
- 설탕
- java
- 100일
- DNA
- 보건소
- 챔픽스 후기 금연
- 윈도우10
- 뇌
- 생명과학
- 챔픽스
- 금단증상
- 흡연
- 통신
- 냄새
- 상식
- 단백질
- oracle
- 과학
- 믹스커피
- 인공지능
- 부작용
- 챔픽스 후기
- 금연일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