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지난 2002년 개봉한 톰 크루즈 주연의 공상과학(SF)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는 2054년 워싱턴 DC을 배경으로 한다. 비교적 먼 미래인 만큼 이 영화에는 현재는 상상하기 어려운 첨단 장비들이 대거 등장한다. 그 중 하나가 로봇 거미다. 로봇 거미는 이곳저곳을 헤집고 다니며 사람의 망막에 빛을 쪼여 신원을 확인한다. 신원 확인을 거부하면 전기 충격을 가하기까지 한다. 이를 테면 ‘지능형 미래 경찰견’이다.
그런데 왜 하필 거미일까. 영화에 답이 있다. 로봇 거미는 자세를 자유자재로 바꿔 가며 문틈 같은 좁은 공간을 파고든다. 사람의 몸도 거뜬히 기어오른다. 영락없는 실제 거미의 모습이다. 현재 과학자들이 생물의 움직임을 모방한 로봇을 개발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길게는 수천만 년 동안 진화를 통해 다듬어진 생물은 과학적으로 가장 효율적이고 안정된 구조를 지닌다는 얘기다. 현재 개발된 생체를 모방한 로봇들의 생김새와 기능을 짚어보자.
먼저 눈에 띄는 건 로봇쐐기다. 지난 3월 미국 매사추세츠 주 터프츠대 연구팀은 부드러운 가죽 같은 실리콘 고무가 전진 또는 후진하는 로봇쐐기를 개발했다. 이 로봇은 몸 안의 작은 스프링이 수축과 이완을 반복해 움직인다. 피부 전체가 물결처럼 스멀스멀 움직이는 쐐기 벌레의 모습을 그대로 구현한 것이다.
연구팀은 올해 말까지 모든 방향으로 몸을 회전할 수 있고 나무도 기어오를 수 있는 완전한 로봇쐐기를 선보일 예정이다. 로봇쐐기는 광산이나 우주 등 인간이 직접 작업하기 어려운 공간을 누비며 여러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연구팀은 특히 다이너마이트를 품고 땅 속을 기어 다니다 광맥을 발견하면 해당 위치에서 폭발시키는 모델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병사들의 군장을 대신 짊어지는 로봇개도 주목된다. 미국 국방성과 보스턴 다이내믹스사가 개발 중인 로봇개는 일종의 노새다. 실제로 네 발과 튼튼한 몸체는 영락없는 가축의 모양새다. 무게중심을 잡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쉽게 넘어지지 않고 다음 발을 내디딜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심지어 옆구리를 발로 차이더라도 금방 자세를 고쳐 잡는다.
미군이 로봇 개를 개발하려는 건 막대한 양의 군장이 병사들의 전투 능력을 저해한다는 판단 때문이다. 군사기술의 발달에 따라 늘어난 장비가 병사들의 어깨를 짓눌렀고 이것이 기동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됐다는 얘기다. 게다가 로봇 개는 바퀴를 굴리는 운송 수단보다 이동 범위가 넓다. 실제로 자동차는 병사들과 밀착해서 이동하기 어려운 데다 좁은 길이나 울퉁불퉁한 지형에서는 무용지물이 되기 일쑤다. 미국 국방성이 로봇 개에 심혈을 기울이는 이유다.
로봇 개는 아직 개발 단계에 있다. 평탄한 땅이 아니면 지나치게 이동 속도가 느리기 때문이다. 험난한 땅에서는 사람의 보통 걸음걸이에도 못 미친다. 그러나 최근 과학자들이 이동 속도를 3배 정도 높이기 위한 연구에 뛰어들고 있다. 병사와 함께 뛰는 로봇개가 등장할 날도 머지않은 것으로 보인다. 소와 말을 이용해 군사 장비를 이동시켰던 중세 전투의 양상이 현대에 이르러 로봇 개를 통해 되살아나고 있는 셈이다.
최근엔 로봇거북이도 등장했다. 미국 바사르대 연구팀은 ‘007 가방’처럼 생긴 몸체에 지느러미 4개가 달린 로봇거북이를 제작했다. 2개 또는 4개의 지느러미를 어떻게 활용해야 가장 안정적인 자세로 빠르게 움직일 수 있는지 연구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지느러미는 거북이 피부와 비슷한 강도를 지니는 폴리우레탄으로 만들어졌다.
이 로봇에는 카메라, 음파탐지기, 수심계 등이 장착돼 가장 효율적인 헤엄 방법을 찾는 연구가 가능하다. 바다거북과 바다사자는 뒤 지느러미를 추진력을 내는데 쓰지 않고 방향타로만 활용하고 있지만 2억 5100만 년 전에 살았던 자이언트 거북은 4개의 지느러미를 모두 저어 추진력을 만들었다. 연구팀은 이 같은 여러 가지 수영 방법을 로봇거북이로 실험해 가장 효율적인 헤엄을 찾아내겠다는 방침이다.
이 밖에도 벽면을 기어오르는 개코 도마뱀의 발을 폴리머 패드를 활용해 모사한 ‘스타키 봇’, 코끼리 코를 본 따 만든 인공 팔인 ‘옥타암’이 있다. 에너지 손실 없이 헤엄을 치는 민물고기인 블루길의 수영 자세를 베낀 로봇도 개발 중이다. 근대 이후 자연을 넘어서기 위한 도구였던 기계와 전자장비의 모티프가 최근 자연으로 회귀한다는 사실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앞으로 또 어떤 자연을 닮은 로봇이 나올지 벌써부터 궁금해진다. (글 : 이정호 과학칼럼니스트)
(출처 : KISTI의 과학향기)
- Total
- Today
- Yesterday
- 다이어트
- 챔픽스 후기 금연
- 냄새
- 챔픽스 후기
- 단백질
- 믹스커피
- 인공지능
- 통신
- 보건소
- 지진
- 생명과학
- 상식
- 윈도우10
- 흡연
- 100일
- 의료
- 금연
- 금단증상
- 보건
- 뇌
- 오라클
- 부작용
- java
- 금연일기
- oracle
- 유전자
- 과학
- 설탕
- 챔픽스
- DNA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